반응형
올해 고등학교에 들어가는 신입생은 2022 개정 교육과정으로 수업을 받게 되는 첫 번째 학생들인데요. 기존의 선배들과 배우는 교과목도 많이 달라지고 고교 학점제로 본인이 과목을 선택해야 하다 보니 기존 학생들을 참고할 수 없어 선택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여기서는 2022 개정교육과정 예술 과목 중 무용교과의 예술 계열(특목고)의 진로 선택 및 융합 선택과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보통 교과 - 체육, 예술, 기술‧가정/정보, 제2외국어/한문, 교양 교과
체육, 예술, 기술‧가정/정보, 제2외국어/한문, 교양 교과의 보통 교과는 일반선택, 진로선택, 융합선택으로 구성되었는데 과목별 소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일반선택 : 과별 학문 영역 내의 주요 학습 내용 이해 및 탐구를 위한 과목
- 진로선택 : 교과별 심화학습 및 진로 관련 과목
- 융합선택 : 교과 내/교과 간 주제 융합 과목과 실생활 체험 및 응용을 위한 과목
예술 교과
1-1) 예술 계열 진로 선택 - 무용 계열
예술 계열 학교의 선택과목으로 본인의 적성과 진로에 따라 선택하여 듣게 되는 과목입니다
- 무용의 이해 : 인류의 역사와 함께 발전해온 무용의 변화를 문화적 배경 속에서 이해하고 무용과 삶의 관계에 대한 탐색을 통해 무용의 본질과 특징을 이해하는 예술 계열 진로 선택 과목
- 무용과 몸 : 몸의 중요성과 가치를 이해하고 몸에 대한 구조적, 기능적인 이해를 기초로 몸을 성찰하는 과목이다. 다양한 무용 동작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는 ‘춤추는 몸’을 이해하는 과목으로 학습자가 전공으로서 무용을 심화하기 위한 예술 계열 진로 선택 과목
- 무용 기초 실기 : 무용 실기에서 기본이 되는 것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 무용 동작의 기초를 확립하는 예술계열 진로 선택 과목
- 무용 전공 실기 : 무용 동작 원리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기본 동작을 응용하고 확장하는 과목으로, 학습자가 삶 속에서 전공으로 선택한 무용을 심화할 수 있는 예술 계열 진로 선택 과목
- 안무 : 안무 원리와 창작 기법을 체계적으로 습득함으로써 움직임을 매개로 감정과 생각을 미적 형식으로 드러내는 과목인데 이 과정에 필요한 창의⸱융합 사고 능력과 심미적 감성 능력을 개발하는 예술 계열 진로 선택 과목
- 무용 제작 실습 : <안무> 과목과 연계하여 무용 제작의 전 과정을 이해하고 무용 제작의 실제를 경험하는 예술 계열 진로 선택 과목
- 무용 감상과 비평 : 무용 작품을 다양한 측면에서 해석하고 평가하는 과목으로 학습자의 미적 태도와 작품 분석 능력을 신장시키는 과목이다. 또한 무용 작품을 통해 사회, 문화, 철학, 미학 등 다양한 시각에서 삶과 문화의 관계를 이해하고 타 예술 분야 및 다양한 매체 등과의 융합을 분석·평가할 수 있는 미적 시각과 태도를 형성하는 예술 계열 진로 선택
1-2) 평가정보 및 이수학점
- 평가정보 : 성취도 3단계 및 등급 표기 안함
- 이수학점 : 특목고 기본 4학점(증감범위 2학점)
1-3) 진로 및 관련 직업( 무용의 이해 )
- 관련학과 : 무용과, 무용학과, 공연예술과, 생활체육학과, 생활무용 학과, 무용예술과, 민속무용학과, 공연융합예술과, 실용 댄스과, 휘트니스실용무용과, 무용원(실기과, 창작과, 이론과) 등
- 관련직업 : 무용수, 무용예술가, 안무가, 무용강사, 국공립 무용단, 국ㆍ내외 무용단, 문화관련 단체 강사, 무용지도교사, 무용교육자, 무용경영자, 무용공연 연출 및 기획자, 뮤지컬 배우, 초중고 특기적성 강사, 무용분장사, 무용 학원 강사, 문화예술강사, 문화예술산업 종사자, 기획사 댄스트레이너, 댄스강사, 백업댄서, 안무트레이너 등
1-4) 진로 및 관련 직업( 무용과 몸 )
- 관련학과 : 무용과, 무용학과, 공연예술과, 생활체육학과, 생활무용학과, 무용예술과, 민속무용학과, 공연융합예술과, 실용댄스과, 휘트니스실용무용과, 무용원(실기과, 창작과, 이론과) 등
- 관련직업 : 무용수, 무용예술가, 안무가, 무용강사, 국공립 무용단, 국ㆍ내외 무용단, 문화관련 단체 강사, 무용지도교사, 무용교육자, 무용경영자, 무용공연 연출 및 기획자, 뮤지컬 배우, 초중고 특기적성 강사, 무용분장사, 무용학원 강사, 문화예술강사, 문화예술산업 종사자, 기획사 댄스트레이너, 댄스강사, 백업댄서, 안무트레이너 등
1-5) 진로 및 관련 직업( 무용 기초 실기 )
- 관련학과 : 무용과, 무용학과, 공연예술과, 생활체육학과, 생활무용학과, 무용예술과, 민속무용학과, 공연융합예술과, 실용댄스과, 휘트니스실용무용과, 무용원(실기과, 창작과, 이론과) 등
- 관련직업 : 무용수, 무용예술가, 안무가, 무용강사, 국공립 무용단, 국ㆍ내외 무용단, 문화관련 단체 강사, 무용지도교사, 무용 교육자, 무용경영자, 무용공연 연출 및 기획자, 뮤지컬 배우, 초중고 특기적성 강사, 무용분장사, 무용학원 강사, 문화예술강사, 문화예술산업 종사자, 기획사 댄스트레이너, 댄스강사, 백업댄서, 안무트레이너 등
1-6) 진로 및 관련 직업( 무용 전공 실기 )
- 관련학과 : 무용과, 무용학과, 공연예술과, 생활체육학과, 생활무용학과, 무용예술과, 민속무용학과, 공연융합예술과, 실용댄스과, 휘트니스실용무용과, 무용원(실기과, 창작과, 이론과) 등
- 관련직업 : 무용수, 무용예술가, 안무가, 무용강사, 국공립 무용단, 국ㆍ내외 무용단, 문화관련 단체 강사, 무용지도교사, 무용교육자, 무용경영자, 무용공연 연출 및 기획자, 뮤지컬 배우, 초중고 특기적성 강사, 무용분장사, 무용 학원 강사, 문화예술강사, 문화예술산업 종사자, 기획사 댄스트레이너, 댄스강사, 백업댄서, 안무트레이너 등
1-7) 진로 및 관련 직업( 안무 )
- 관련학과 : 무용과, 무용학과, 공연예술과, 생활체육학과, 생활무용 학과, 무용예술과, 민속무용학과, 공연융합예술과, 실용 댄스과, 휘트니스실용무용과, 무용원(실기과, 창작과, 이론과) 등
- 관련직업 : 무용수, 무용예술가, 안무가, 무용강사, 국공립 무용단, 국ㆍ내외 무용단, 문화관련 단체 강사, 무용지도교사, 무용교육자, 무용경영자, 무용공연 연출 및 기획자, 뮤지컬 배우, 초중고 특기적성 강사, 무용분장사, 무용 학원 강사, 문화예술강사, 문화예술산업 종사자, 기획사 댄스트레이너, 댄스강사, 백업댄서, 안무트레이너 등
1-8) 진로 및 관련 직업( 무용 제작 실습 )
- 관련학과 : 무용과, 무용학과, 공연예술과, 생활체육학과, 생활무용 학과, 무용예술과, 민속무용학과, 공연융합예술과, 실용 댄스과, 휘트니스실용무용과, 무용원(실기과, 창작과, 이론과) 등
- 관련직업 : 무용수, 무용예술가, 안무가, 무용강사, 국공립 무용단, 국ㆍ내외 무용단, 문화관련 단체 강사, 무용지도교사, 무용교육자, 무용경영자, 무용공연 연출 및 기획자, 뮤지컬 배우, 초중고 특기적성 강사, 무용분장사, 무용 학원 강사, 문화예술강사, 문화예술산업 종사자, 기획사 댄스트레이너, 댄스강사, 백업댄서, 안무트레이너 등
1-9) 진로 및 관련 직업( 무용 감상과 비평 )
- 관련학과 : 무용과, 무용학과, 공연예술과, 생활체육학과, 생활무용학과, 무용예술과, 민속무용학과, 공연융합예술과, 실용댄스과, 휘 트니스실용무용과, 무용원(실기과, 창작과, 이론과) 등
- 관련직업 : 무용수, 무용예술가, 안무가, 무용강사, 국공립 무용단, 국ㆍ 내외 무용단, 문화관련 단체 강사, 무용지도교사, 무용교육자, 무용경영자, 무용공연 연출 및 기획자, 뮤지컬 배우, 초중고 특기적성 강사, 무용분장사, 무용학원 강사, 문화예술강사, 문화예술산업 종사자, 기획사 댄스트레이너, 댄스강사, 백업댄서, 안무트레이너 등
2-1) 예술 계열 융합 선택 - 무용 계열
본인의 흥미, 적성과 진로에 따라 선택하여 듣는 과목입니다.
- 무용과 매체 : 매체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무용 표현에 적합한 매체를 선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과 그 실제를 포함 하고 있는 예술 계열 융합 선택 과목
2-2) 평가정보 및 이수학점
- 평가정보 : 성취도 3단계 및 등급 표기 안함
- 이수학점 : 특목고 기본 4학점(증감범위 2학점)
2-3) 진로 및 관련 직업(무용과 매체 )
- 관련학과 : 무용과, 무용학과, 공연예술과, 생활체육학과, 생활무용학과, 무용예술과, 민속무용학과, 공연융합예술과, 실용댄스과, 휘트니스실용무용과, 무용원(실기과, 창작과, 이론과) 등
- 관련직업 : 무용수, 무용예술가, 안무가, 무용강사, 국공립 무용단, 국ㆍ내외 무용단, 문화관련 단체 강사, 무용지도교사, 무용교육자, 무용경영자, 무용공연 연출 및 기획자, 뮤지컬 배우, 초중고 특기적성 강사, 무용분장사, 무용학원 강사, 문화예술강사, 문화예술산업 종사자, 기획사 댄스트레이너, 댄스강사, 백업댄서, 안무트레이너 등
결론
예술 교과는 연극분야를 제외하고 일반, 진로, 융합 선택 과목의 위계 없이 자유롭게 편성 가능한 과목으로 개인의 진로와 적성에 따라 선택하여 이수하면 됩니다. 특히 예체능계열 전공자는 전공과 연계되는 과목들을 선택하여 이수하면 좋습니다. 자신의 적성과 진로를 최대한 고려하여 현명한 선택을 하시어 좋은 결과 있기를 바랍니다!
반응형